"10년 뒤 메가트렌드 내다보고 준비해야"
"부동산운영업계의 '구글'만 남을 수도"
"기술 발전으로 공간 가치는 높아져"
오프라인 비즈니스에 기술 접목해 비효율 개선
기술의 발전 속도가 갈수록 빨라지고 있다. 인공지능(AI)이 사람이 하는 일의 많은 부분을 대체하기 시작하면서 일의 정의도 크게 달라지고 있다. AI를 비롯한 기술의 발전을 외면했다가는 역사상 가장 큰 소외를 경험하게 될 것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부동산 시장에도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영향이 본격화되고 있다. 이 같은 흐름은 앞으로 더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1위 부동산자산운용사인 이지스자산운용이나 마스턴투자운용, 우미건설 등과 같은 회사는 이미 프로테크 회사에 투자를 확대하면서 곧 다가올 미래에 대비하기 시작했다. 최근 이지스운용과 함께 공동으로 프롭테크에 투자하고 있는 벤처캐피탈(VC) 퓨처플레이의 류중희 대표를 만나 공간 비즈니스의 미래에 대해 들어봤다.
인공지능(AI)과 같은 테크놀로지의 발전이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어떻게 보는지 궁금하다.
기술이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공간 콘텐츠를 혁신적으로 잘 만드는 회사들이 있고, 또 하나는 분석과 활용 쪽에 능한 회사들이 있다. ...
퓨처플레이가 투자한 부동산 메가트렌드에는 또 어떤 것이 있나
메이아이(영상처리인공지능을 활용해 오프라인 매장 고객들의 행동패턴을 분석하는 인빌딩 애널리틱스 회사), 오픈업(AI로 상권을 분석해 솔루션을 제공하는 회사), 빌드블록(해외 부동산에 투자하는 플랫폼), 플랜즈커피(극소형 카페를 만드는 테크놀로지 회사) 등에 투자했다. 지금 얘기한 테마들은 10년 뒤 관점에서는 너무도 당연한 이야기가 될 거다. 매장을 내려면 당연히 AI가 상권분석을 해야 한다고 생각할 거고 한국에 살지만 미국이나 중국, 동남아 등 전 세계를 대상으로 부동산 투자를 해야 한다고 생각할 거다. 부동산 자체도 증권화될 거다.
▶ 관련 기사

▼ 오프라인 공간 분석 트랜드를 알고 싶다면 구독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