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아이 “매장 방문객 분석 AI 급속 확대...정식 계약 전환율 70% 달해”

시장조사 기관 IDC의 글로벌 통계 6배에 달하는 실적 기록

인공지능(AI)으로 매장 방문객을 분석해 주는 메이아이(대표 김찬규)의 솔루션 '매쉬(mAsh)’가 최근 빠르게 국내 매장으로 퍼져 나가고 있다. 매쉬를 시범 도입한 기업 중 무려 70%가 이를 정식 채택했다는 사실이 이를 입증한다.

메이아이 관계자는 17일 "지난해 매쉬의 기술실증(PoC)에 참여한 기업 중 약 70%가 정식 계약으로 전환했으며, 그중 또 80%는 연장 계약까지 이어졌다"라고 밝혔다.

이는 글로벌 통계의 6배에 달하는 실적이다. 시장조사 기관 IDC의 최근 자료에 따르면, 글로벌 AI PoC 중 실제 프로덕션으로 전환된 비율은 12.1%에 불과했다.

그만큼 기술력과 실용성이 차별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설명이다.

매쉬는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로, 오프라인 매장 방문객의 연령대, 성별, 체류 시간, 이동 동선 등을 AI가 분석한다. 이를 통해 상품 진열과 시설 배치를 최적화하는 등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방문객 데이터를 전처리, 민감한 정보를 가려낸 뒤 추론 알고리즘으로 마케팅과 운영에 적용 가능한 전략을 제시해 준다. 또 날씨, 행사, 상권과 같은 외부 변수와의 인과관계 분석과 경영지표 예측 등으로 매장 운영을 최적화하고 성과 증대를 돕는다. 

지난달에는 대화형 AI 에이전트 기능을 추가, 대형언어모델(LLM)이 생성한 답변을 받을 수 있는  ‘매쉬 인사이트(mAsh Insights)’ 기능을 추가했다. 특히, 자체 개발한 재식별화 기술을 적용해 개별 방문객의 이동 동선을 92%의 정확도로 분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현재 하루 평균 2만5000시간 이상의 영상을 처리 중이라고 밝혔다. 이용자 수는 전년 대비 270% 증가했다.

리테일은 AI 도입이 가장 빠르게 이뤄질 것으로 꼽혀 왔던 분야 중 하나다. 국내에서는 메이아이가 이를 입증하고 있는 셈이다.

이 회사는 이런 분위기를 타고 국내 대기업은 물론, 해외로 확장 중이라고 밝혔다.

메이아이 관계자는 “AI SaaS 시장 성장에 맞춰 최근 기술 도입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라며 “삼성전자, LG전자, CGV 등 대기업을 이미 고객사로 확보했다”라고 말했다. 

이어 "영국 런던과 베트남 하노이 등 해외 거점까지 공급 범위를 넓히고 있다”라고 전했다. 

ⓒ AI타임스, 장세민 기자

메이아이 “매장 방문객 분석 AI 급속 확대...정식 계약 전환율 70% 달해”
인공지능(AI)으로 매장 방문객을 분석해 주는 메이아이(대표 김찬규)의 솔루션 ‘매쉬(mAsh)’가 최근 빠르게 국내 매장으로 퍼져 나가고 있다. 매쉬를 시범 도입한 기업 중 무려 70%가 이를 정식 채택했다는 사실이 이를 입증한다.메이아이 관계자는 17일 ”지난해 매쉬의 기술실증(PoC)에 참여한 기업 중 약 70%가 정식 계약으로 전환했으며, 그중 또 80%는 연장 계약까지 이어졌다”라고 밝혔다.이는 글로벌 통계의 6배에 달하는 실적이다. 시장조사 기관 IDC의 최근 자료에 따르면, 글로벌 AI PoC 중 실제 프로덕션으로 전환

You've successfully subscribed to 메이아이 공식 블로그
Great! Next, complete checkout to get full access to all premium content.
Error! Could not sign up. invalid link.
Welcome back! You've successfully signed in.
Error! Could not sign in. Please try again.
Success! Your account is fully activated, you now have access to all content.
Error! Stripe checkout failed.
Success! Your billing info is updated.
Error! Billing info update fai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