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메이아이의 Content Editor 최창근입니다.
오프라인 리테일 매장은 둘로 나뉩니다. 리테일 AI를 도입해 매장 혁신에 앞장서는 곳과 아직도 도입하지 못해 끙끙 대는 곳. 유럽에서 대형마트·편의점 시장을 꽉 잡은 기업 ‘REWE’는 인공지능을 2018년부터 도입하며 리테일 업계에서 AI 혁신의 선두 주자로 꼽힙니다. REWE는 리테일 AI를 어느 부분에 어떻게 활용하고 있을까요? 두 가지 사례를 소개합니다.
독일의 대표 리테일 업체, REWE는 어떤 곳?

REWE 그룹은 독일 2위 리테일 기업입니다. 2024년에 달성한 매출은 약 961억 유로, 원화로 약 155조 원이에요. 직원도 38만 명 정도 근무하고 있고요. 독일 전역뿐 아니라 유럽 21개국에도 진출해 약 6000개 매장을 운영 중입니다.
REWE는 1927년 시작되어 벌써 100주년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역사가 깊은 만큼 디지털 혁신에 보수적이지 않을까 생각할 수 있지만, 이미 1984년부터 IT 전담 조직 ‘REWE digital’을 만들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대응해왔습니다.
리테일 AI 활용 사례 첫 번째: 무인매장 Pick and Go

마트에 들어가 물건을 집고 나가면 자동으로 결제가 되는 시스템, 리테일 AI의 대표적인 사례로 자주 들어봤을 거예요. REWE는 이스라엘의 무인매장 기술 스타트업 트리고(Trigo)와 협업해 Pick and Go 시스템을 운영 중입니다. 2025년 기준으로 23개 매장에 도입했고, 대부분은 일반 결제 방식과 병행하는 하이브리드 형태입니다.
작동 방식은 이렇습니다. 방문객은 앱에 나타난 QR 코드를 찍고 매장에 입장해요.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며 카트에 물건을 담으면 앱 장바구니에 ‘A제품 +1’ 하고 자동으로 기록됩니다. 반대로 카트에서 다시 물건을 빼서 매대에 두면 장바구니에 ‘A제품 -1’ 하고 기록되고요. 원하는 물건을 다 담은 뒤에 퇴장하면 자동으로 결제가 완료돼요.
REWE의 Pick and Go, 어떤 원리일까?
컴퓨터 비전 AI와 선반의 무게 센서를 함께 활용한 결과입니다. Trigo의 컴퓨터 비전 기술이 매장 전체를 3D 모델링하고 방문객의 움직임을 추적합니다. 고객의 이미지는 전신을 관절 단위로 분석하고, 특히 팔 움직임을 통해 물건을 집고 놓는 과정을 인식합니다.

이때 어떤 물건을 몇 개 집었는지는 무게 센서를 통해 정교하게 측정합니다. 같은 용량의 일반 콜라와 제로 콜라도 구분할 정도로 센서가 섬세해서, 제품 종류와 개수를 정확히 인식할 수 있습니다. 혹시라도 앱 장바구니에 제품 또는 수량이 잘못 체크됐을 경우 앱에서 바로 수정할 수 있고, 집에 가서도 24시간 내에 고객센터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습니다.
REWE의 AI 기술이 복잡하다고 규모가 작은 매장에만 도입된 것은 아닙니다. 2025년 Pick and Go를 도입한 함부르크 지점은 유럽에서 컴퓨터 비전 AI가 설치된 매장 중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합니다. 1200㎡(약 363평)를 AI로 실시간 분석하고 있고, 무게 센서로 구분하는 제품의 수는 약 2만 개입니다. 방문객 데이터와, 재고 및 결제 데이터를 차질없이 처리하는 기술력을 엿볼 수 있습니다.
리테일 AI 활용 사례 두 번째: 스마트 쇼핑 카트
대형마트에 가면 꼭 끌고 다니는 쇼핑 카트, REWE의 카트에는 태블릿이 하나씩 달려 있습니다. 이 태블릿이 고객의 쇼핑 도우미 역할을 하며 매장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해줘요.
REWE의 스마트 카트 활용 사례를 보여주는 영상.
스마트 쇼핑 카트, 어떤 기능이 있을까?
REWE 스마트 카트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카트를 집자마자 오늘 쇼핑할 목록을 태블릿 카메라에 스캔합니다. 손글씨든 스마트폰 메모장 파일이든 상관없어요. 스캔하면 태블릿에 리스트가 생성되고, 물건을 담은 뒤 터치하면 체크 마크가 표시돼요. 여기에 더해 해당 물건이 있는 매대로 가는 가장 효율적인 동선을 안내하는 기능도 있어서, 고객은 빠른 시간에 필요한 물건을 찾은 뒤 쇼핑을 마칠 수 있습니다.
스마트 카트는 방문객뿐 아니라 REWE에도 도움이 됩니다. 매장에서 보내는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띄워주는 기능 덕분입니다. 추가로 구매하면 좋을 상품을 추천하거나 쿠폰을 바로 쏴주는 식이에요. 고객의 동선을 AI가 학습해 분석하고, 카트에 담긴 물품을 인식하는 원리인데요. 이를 통해 고객의 구매 확률이 올라가고 매출 상승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 기술은 이스라엘의 스타트업 Catch(캐치)와 협업하여 제공하는 것으로, 현재 일부 지점에서만 테스트 형식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리테일 AI를 활용하면서 개인정보는 어떻게 지킬까?
REWE의 리테일 AI 활용 사례를 들으며 궁금증이 커졌을 수 있습니다. Pick and Go는 매장 내 방문객 움직임을 분석하고, 스마트 카트는 개개인의 쇼핑 리스트를 인식하니까요. 하지만 REWE는 개인정보 보호 규정이 전 세계에서 가장 까다롭다는 유럽연합에서 AI를 성공적으로 도입했습니다.

Pick and Go가 GDPR을 준수하는 방법
- 매장에 입장할 때 QR 코드를 찍습니다. 이 데이터가 카메라 움직임과 결합되면 개개인을 식별하는 거 아닌가 싶을 텐데요. REWE는 QR코드를 인식할 때 임시 ID를 부여하고, 쇼핑이 끝나면 즉시 삭제하는 식으로 개인정보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다음 번에 방문할 때는 완전히 새로운 임시 ID와 연결되어서 장기적인 쇼핑 패턴을 추적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 또한 매장 내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방문객의 움직임을 분석할 때 안면인식을 하지 않습니다. 전체 골격을 익명화해서 인식하고(예: 아바타-123), 물건을 집어놓고 돌려놓는지만 분석합니다.
- 대부분의 매장에서 일반 결제 방식을 함께 운영하여 소비자에게 선택권을 줍니다. AI 기술에 노출되는 것을 강제하지 않는 방법으로 GDPR의 ‘자유로운 동의’ 원칙을 충족합니다.
스마트 카트가 GDPR을 준수하는 방법
- 카트에 설치된 단말기는 로그인을 일절 요구하지 않습니다. 개인정보와 아예 연결될 여지가 없는 거라 익명성을 지킬 수 있습니다.
- 단말기와 연결되는 앱 같은 것도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개인정보를 지킬 수 있습니다.
- 당일 쇼핑 데이터도 영업 개선 목적으로만 일회성으로 사용됩니다.

메이아이의 기술력이 GDPR을 어떻게 충족하는지 궁금하다면 이 아티클을 읽어보세요.
리테일 AI 성공 사례를 메이아이와 함께 만들어보세요
REWE 사례 외에도 리테일 AI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무궁무진합니다. 재고량을 실시간으로 파악해 물품 가격을 변동할 수 있고, 디지털 사이니지에 방문객 맞춤형 광고를 내보내는 리테일 미디어를 운영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AX 전략의 기반을 닦는 데는 매장 분석 AI 솔루션이 필요합니다.
매장 방문객 데이터를 딥러닝 기반으로 분석하는 일은 메이아이가 가장 잘합니다. 서비스에 대한 자세한 소개서 아래 이미지를 클릭해 받아보세요. 도입 문의는 contact@may-i.io 또는 우측 하단 채널톡 버튼을 눌러 문의 부탁드립니다. AI 트랜스포메이션의 선두주자가 될 수 있도록 메이아이가 함께하겠습니다.
